1. 광고배너
/ 이전버튼 다음버튼
2
미리보기

연암산문 정독
저자 : 박희병외6인 ㅣ 출판사 : 돌베개

2007.07.10 ㅣ 344p ㅣ ISBN-13 : 9788971992777

정가25,000
판매가22,500(10% 할인)
적립금 1,250원 (5%)
배송일정 12월 07일 출고 가능
주문 수량 변경시 안내 배송안내
쿠폰 및 결제혜택 확인하기

크기 기타 규격
제품구성 양장본
이용약관 청약철회
국내도서 > 인문 > 문학 > 한문학/시조문학
이 책은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산문 중 문예성이 높은 작품 22편에 대하여 원문을 교감(校勘)하고 번역·주석한 것이다. 『연암집』(燕巖集)의 알려진 모든 이본을 수합·대조하여 원문을 교감하였으며, 번역이 난해한 부분에 대한 기존 번역서의 번역문을 나란히 제시하여 한눈에 해당 구절의 동이(同異)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연암집』의 제반 이본에 실려 있는 평문(評文)을 최초로 모두 번역하고 주석하였다. 이 책은 총 다섯 권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 책에 이어 두 번째 책이 곧 간행될 예정이다.
펼쳐보기

[목 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큰누님 박씨 묘지명
말 머리에 무지개가 뜬 광경을 적은 글
‘죽오’(竹塢)라는 집의 기문
‘주영염수재’(晝永簾垂齋)라는 집의 기문
술에 취해 운종교(雲從橋)를 밟았던 일을 적은 글
소완정(素玩亭)이 쓴 「여름밤 벗을 방문하고 와」에 답한 글
한여름 밤에 모여 노닌 일을 적은 글
「중국인 벗들과의 우정」에 써 준 서문
홍덕보 묘지명
발승암 기문
기린협(麒麟峽)으로 들어가는 백영숙(白永叔)에게 주는 서(序)
형수님 이씨 묘지명
정석치(鄭石癡) 제문(祭文)
안의(安義)에서 어떤 사람에게 보낸 편지
‘관재’(觀齋)라는 집의 기문
『초정집』 서문
소완정 기문
『공작관(孔雀쮂) 글 모음』 자서
『말똥구슬』 서문
경지(京之)에게 보낸 답장 1
경지에게 보낸 답장 2
경지에게 보낸 답장 3
찾아보기
펼쳐보기
번역을 학문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연암학’의 총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조선 후기의 뛰어난 문장가이며 실학자(實學者)이다. 연암의 글은 생동하는 언어와 파격적인 문체로 인해 당대인뿐만 아니라 후대인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읽는 이의 탄성을 자아내게 만든다. 국내에서는 ‘연암학’(燕巖學)이라는 명칭이 생길 정도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1차 번역본부터 저자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된 책까지 수십 종에 달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연암의 산문 작품을 번역한 책 중에서 가장 정밀하고 전문적인 책이다. 산문의 원문에 표점을 붙여 번역문과 나란히 수록함으로써 서로 대조해 가며 읽을 수 있게 했고, 이본들을 자세히 교감하여 그 결과를 각주로 제시했으며, 번역의 동이(同異)를 밝혔고, 고사나 전거(典據)가 있을 경우 학문적인 견지에서 그 내용을 최대한 자세히 밝혀 주었다.
그간 출간된 연암 번역서의 다양한 번역을 ‘번역의 동이’를 통해 대조해 가며 읽고, 박제가, 이재성, 김택영 등 옛 선인의 다양한 비평을 ‘제가의 비평’을 통해 읽음으로써, 보다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시선으로 연암의 글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연암학’의 질적인 발전은 물론 ‘한국학’의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 책은 정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독자층은 좀더 광범위하게 볼 수 있다. 연암 전문가를 넘어서서, 연암의 산문을 보다 깊이 있게 읽고자 하는 일반 독자에게 이 책은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총 다섯 권을 계획하고 있는바, 곧 두 번째 책이 간행될 예정이다.

연암 박지원의 산문 작품을 정밀하게 들여다보기-역주·고이·집평
이 책은 연암 박지원의 산문 작품 22편을 뽑아, 원문을 교감(校勘)하고 번역주석한 것이다. 연암 산문의 애호가(愛好家), 전문 연구자들이 좀더 정세(精細)하게 연암의 글을 감상할 수 있도록 역주(譯注)·고이(考異)·집평(輯評)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갖추었다.

역주(譯注) 번역(飜譯)하고 주석(注釋)을 달다. 번역문과 원문 모두에 주석을 달다
이 책은 이해하기 힘든 구절에 대한 상세하고도 정밀한 학술적 주석을 가하여 원문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기존의 주석서와는 달리 전고(典故)의 원출처를 일일이 찾아 상세한 내용을 밝히는 방식을 취하였다. 매 작품마다 소단락을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번역문과 원문 모두에 주석을 달았다. 번역문의 경우 ‘역문풀이’라는 형식으로 단어나 문장의 뜻을 해석, 전고(典故) 등을 조사하여 밝혔고, 원문의 경우 ‘원문풀이’라는 형식으로 주석을 달아 인용된 원전의 문장을 찾아 일일이 적어 주었다. 또한 김택영, 박영철, 이재성 등 여러 사람의 평점 비평에 대해서도 번역문과 원문을 함께 제시하고, 주석을 달았다.

고이(考異) 차이(差異)를 상고(詳考)하다. 이본의 교감 및 번역의 동이를 살피다
이 책은 박영철본(朴榮喆本: 박영철 편, 『燕巖集』, 17권 6책, 1932) 『연암집』(燕巖集)을 저본으로 삼고, 알려진 『연암집』의 이본 23종을 모두 수합대조하여 원문을 교감함으로써 『연암집』의 ‘정본’을 만들었다.
연암 박지원은 자신의 작품을 몇 번이고 퇴고하면서 글의 완성도를 높여 간 작가였다. 이 책에서 수행한 면밀한 이본 교감은 연암의 이런 퇴고 과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본들의 차이를 살피다 보면 연암이 글의 어떤 대목에서 이리저리 주저하며 생각에 골똘히 잠겨 글을 다듬고 표현을 고쳤는지, 어떤 대목에서 특히 마음이 흔들리고 고심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이본 교감은 연암의 창작 심리와 창작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한 편의 완성작을 퇴고의 ‘전 과정 속에서’ 동태적으로 그리고 입체적으로 읽어 내게 해 줌으로써 작품 분석과 이해에 새로운 방법론적 지
펼쳐보기

독자서평 쓰기 로그인을 하시면 독자서평을 쓰실 수 있습니다.

독자서평 쓰기 로그인을 하시면 독자서평을 쓰실 수 있습니다.
도서평점
내용
등록하기
0/2000자

이 분야의 베스트

더보기 >

    이 분야의 신간

    더보기 >
      맨위로가기

      영풍문고 로고

      • 회사명 : (주)영풍문고
      • 대표이사 : 김경환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우)03188
      • 사업자 등록번호 : 773-86-01800 ㅣ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2023-서울종로-0130 [ 사업자정보확인 ]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조순제 ㅣ customer@ypbooks.co.kr ㅣ 대량주문 : webmaster@ypbooks.co.kr
      COPYRIGHT © YOUNGPOONG BOOKSTORE INC. ALL RIGHTS RESERVED.
      영풍문고 네이버블로그 영풍문고 인스타그램
      맨위로가기